관계대명사 who, which, that 쉽게 이해하기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유독 발목을 잡는 문법 파트가 하나씩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바로 이 관계대명사 앞에서 좌절감을 느끼곤 하죠. 저 역시 학창 시절, 문법 책만 펼치면 등장하는 복잡한 표와 설명 때문에 영어를 포기할 뻔한 아찔한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원리만 제대로 이해하면, 이보다 더 유용하고 재미있는 도구도 없습니다. 오늘은 제가 다년간 영어를 가르치고 콘텐츠를 만들며 터득한 노하우를 담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관계대명사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관계대명사, 도대체 왜 필요할까
문법 용어라는 생각에 머리부터 아파오시나요? 잠시 그 생각은 접어두고, 이 친구가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역할만 알아도 절반은 성공입니다.
두 문장을 하나로, 간결함의 마법
관계대명사는 이름 그대로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흩어져 있는 두 문장을 하나로 자연스럽게 연결해, 더 세련되고 간결한 문장을 만들어주죠.
예를 들어, "I have a friend. She lives in Seoul." 이라는 두 문장이 있습니다. 이걸 관계대명사를 사용하면 "I have a friend who lives in Seoul." 이렇게 한 문장으로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훨씬 효율적이죠?
명사를 꾸며주는 수식어 역할
두 번째 핵심 역할은 바로 앞에 나온 명사, 즉 '선행사'를 꾸며주는 것입니다. 방금 예문에서 'who lives in Seoul' 부분은 앞에 있는 'a friend'가 어떤 친구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명사 뒤에 붙어서 풍부한 정보를 더해주는 아주 중요한 장치입니다.
제가 영어를 가르치며 느낀 점
많은 학습자들이 단어만 외우면 영어가 될 거라 생각하지만, 문장을 확장하는 능력이 없으면 초보 수준을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제가 직접 학생들을 가르쳐보면, 이 관계대명사의 원리를 깨우친 순간부터 영어 실력이 급격하게 향상되는 것을 목격하곤 합니다. 그만큼 문장 구조의 핵심 열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선행사에 따라 골라 쓰는 who, which
관계대명사의 기본은 선행사가 '사람'인지 '사물'인지에 따라 올바른 것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것만 구분해도 기본적인 문장은 모두 만들 수 있습니다.
선행사가 사람일 때는 'who'
꾸며주고자 하는 명사(선행사)가 사람일 경우에는 'who'를 사용합니다.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하면 주격 'who', 목적어 역할을 하면 목적격 'whom'을 쓰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목적격도 'who'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주격: The boy who is playing the piano is my brother. (피아노를 치고 있는 저 소년은 내 동생이다.)
- 목적격: The man who(m) I met yesterday was a famous actor. (내가 어제 만났던 그 남자는 유명한 배우였다.)
선행사가 사물이나 동물일 때는 'which'
반대로 선행사가 사물이나 동물일 때는 'which'를 사용합니다. 사람에게 'who'를 쓰는 것과 똑같은 원리라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 주격: This is the desk which was made by my father. (이것은 우리 아버지가 만드신 책상이다.)
- 목적격: The movie which we watched last night was boring. (우리가 어젯밤에 본 영화는 지루했다.)
소유격은 'whose' 하나면 끝
'~의'라는 소유의 의미를 더하고 싶을 때는 선행사가 사람이든 사물이든 구분 없이 'whose'를 사용하면 됩니다. 'whose' 뒤에는 반드시 명사가 따라온다는 점만 기억하세요.
- I know a girl whose father is a doctor. (나는 아버지가 의사인 소녀를 안다.)
만능 치트키, 관계대명사 that
'who'와 'which'를 구분하는 것이 헷갈린다면, 우리에게는 'that'이라는 강력한 카드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who'와 'which'를 대신해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who'와 'which'를 대신하는 'that'
위에서 들었던 예문 대부분을 'that'으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that'이 더 자주 쓰이기도 합니다.
- The boy that is playing the piano is my brother.
- The movie that we watched last night was boring.
'that'만 써야 하는 특별한 경우
편리한 'that'이지만, 오히려 'that'만 사용해야 하는 특별한 규칙도 있습니다. 선행사에 최상급(the best...), 서수(the first...), the only, the very, all 등이 포함되거나, 선행사가 '사람+사물' 또는 '사람+동물'일 경우가 해당됩니다.
- She is the only person that can solve the problem. (그녀는 그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다.)
'that'을 쓸 수 없는 경우도 알아두기
반대로 'that'을 절대 쓸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콤마(,) 뒤에서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이는 '계속적 용법'과, 전치사 바로 뒤에는 'that'을 쓸 수 없습니다. 이 부분은 조금 더 심화된 내용이지만,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관계대명사를 공부하며 많은 분들이 공통적으로 궁금해하는 질문들을 모아봤습니다.
Q. that은 정말 아무 때나 써도 되나요?
A. 대부분의 경우 'who'나 'which' 대신 'that'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콤마(,) 뒤에서 추가 설명을 하는 계속적 용법에서는 'that'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소유격 'whose'를 대신할 수도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Q. 콤마(,) 뒤에 which는 뭐고 that은 왜 안 되나요?
A. 콤마와 함께 쓰이는 관계대명사는 '계속적 용법'이라고 부릅니다. 문장의 필수 정보가 아닌,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이는 역할을 하죠. 예를 들어, "My brother, who is a doctor, lives in Busan." 이 문장에서 'who is a doctor'는 없어도 문장 성립에 문제가 없습니다. 이처럼 부가 설명을 하는 자리에는 'that'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문법 규칙입니다.
Q.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할 수 있다던데, 사실인가요?
A. 네, 맞습니다.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whom, which, that)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원어민들은 생략하고 말하는 경우가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The man I met yesterday..." 처럼 말이죠. 이 규칙을 익혀두면 듣기와 말하기 실력이 한층 더 자연스러워질 겁니다.
오늘 알아본 내용처럼 관계대명사는 복잡한 암기 공식이 아닙니다. 문장을 연결하고 꾸며주는 아주 편리한 도구라는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부터 영어 문장을 볼 때마다 숨어있는 관계대명사를 찾아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어느새 영어 문장을 자유자재로 만들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